카테고리 없음 / / 2023. 4. 16. 22:23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신청기간 방법

목돈마련하고 싶으신 분들 청년도약계좌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 원씩 5년을 납부해서 만기일에 최대 5,0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을 위한 목돈마련 저축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6월에 출시되는데 얼마 남지 않았으니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정보 정리했으니 미리 확인하시고 청년도약계좌 신청 준비하세요.


목차

  • 1. 청년도약계좌란?
    • 1-1. 청년도약계좌 특징
    • 1-2.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 2. 청년도약계좌 신청
    • 2-1.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 2-2.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 3.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 3-1.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공통점
    • 3-2.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차이점
  • 4. 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유의할 점
  • 정리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1.  청년도약계좌란?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청년들의 목돈마련을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만 29세~34세 청년들이 대상이고 5년간 납입하여 최대 5,000만 원까지 큰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1-1. 청년도약계좌 특징

  • 청년도약계좌는 소득에 따라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고 납입금에 정부 기여금과 예금 금리를 더해 저축해 줍니다.
  • 청년도약계좌는 개인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이 달라져 지원금액이 소득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의 저소득 청년에게는 우대금리가 부여됩니다.
  • 가입 후 3년까지는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 이자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월 납입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월 기여금 한도
2,400만 원 이하
~70만 원
6.0% 2.4만 원
3,600만 원 이하 4.6% 2.3만 원
4,800만 원 이하 3.7% 2.2만 원
6,000만 원 이하 3.0% 2.1만 원
7,500만 원 이하 - -
  • 개인소득 6,000만 원 이상이면 정부지원금 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

 

1-2.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 청년도약계좌는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2. 청년도약계좌 신청

 

청년도약계좌는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청년들을 위해 중장기 재산형성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본인 납입금+정부 기여금+금융기관 이자를 합친 금액을 5년 납부기한 만료 이후에 수령할 수 있습니다.

 

 

2-1.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신청 2023년 6월부터 신청받을 예정으로 추후에 공지되는 상품 취급 금융기관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 가입신청-소득심사-유지심사를 거쳐 자격조건이 되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2-2.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 소득에 따라 월 최대 70만 원씩 5년 납입
  • 가입 연령 조건 : 만 19세~24세 청년 (2004~1989년생)
    • 병역을 이행했을 경우 최대 6년까지 연장 가능 (2년 복무자의 경우 만 37세까지 가능)
  • 가입 소득 조건
    • 개인소득 : 연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 중위소득의 180% 이하

 

중위소득 확인하기

 

 

 

청년도약계좌는 공무원도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지만 소득이 없는 취업 준비생, 대학생은 가입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단, 아르바이트로 인해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청년도약계좌 신청이 가능합니다.

 

3.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에도 중복 가입이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 가입이 안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셨다면 해지 후 또는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공통점은 두 상품 모두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에서 볼 수 있는 차이점으로는 크게 소득과 가입 기간에서 차이가 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두 가지 상품의 차이점을 한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

상품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만 19~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미산입)
운영형식 적금투자운용형태(적금형 등) 선택 적금
소득요건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개인소득 총 급여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납입금액 최대 40~70만원 최대 50만원
지원금 소득구간에 따라
3.0%, 3.7%, 4.6%, 6.0% 월 지급
1년차 2%, 2년차 4%
만기 시 지급
만기 5년 2년
비과세 비과세

 

4.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할 점

 

 

청년도약계좌 혜택만 보고 무조건 가입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가입기간이 5년이라는 것을 생각해서 소득구간에 따라 월 납입금액도 잘 설정해야 합니다.

작년에 출시되었던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중 45만 명이 넘게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했습니다. 금리와 물가 상승으로 납입기간을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 해지한 청년들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해지 없이 5년 동안 유지가 가능한지 체크해봐야 합니다. 5년이라는 기간 동안 잘 유지할 수 있다면 청년도약계좌는 비과세 혜택과 함께 목돈을 만들기 좋은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리

  • 만 19~34세 청년이 월 최대 70만 원씩 5년 동안 저축하여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저축 상품입니다.
  •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그리고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
  • 가입시기는 6월로 예정
  • 금리는 미확정 (추후 발표)

 

금리 기간 월 납입 금액 정부 지원금 투자 운용 형태
미확정 5년 소득 기준 월 40~70만원 납입액의 3~6% 주신형,채권형,예금형 선택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보도자료 - 위원회 소식 - 알림마당 - 금융위원회

[1] 가입후 3년(이상)은 고정금리 적용 예정, 저소득층에 일정수준의 우대금리를 부여하도록 협의, 금리수준은 확정 후 금융협회 홈페이지 등에 공시 예정 [2] 관계법령상 취급이 허용되어 있으

www.fsc.go.kr